본문 바로가기
특례입시 칼럼

고교학점제가 특례 입시 (재외국민 특별전형, 3년 특례, 12년 특례)에 미치게 될 영향

by 옹글리쉬 2024. 11. 10.
반응형

고교학점제가 특례입시에 미치게 될 영향

(재외국민 특별전형, 3년 특례, 12년 특례)

 

      오늘은 2025년 기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부터 적용되는 고교학점제의 주요한 기본적인 특징을 간단하게 소개드리고 특례입시에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전망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특히 고교학점제의 경우 학생부종합전형에 가장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특례 서류 전형에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이 바로 국내 일반고 학생들이 지원하는 수시 학생부종합전형과 매우 유사하게 진행되는 것인 만큼 관심을 가지고 시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교학점제란 ?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게

다양한 선택과목을 이수하여 학점을 취득하는 제도

 

2025년 고1 (2009년생)부터 적용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주요 변화

 

- 모든 과목의 평가가 절대평가(성취도 평가)로 변경

 

교과 평가 방법: 상대평가 성취평가(절대평가) (상대평가 1~5등급 병기)

융합선택과목 : 성취평가만 적용

 

- 선택 과목 구성 세분화 : 일반 선택 / 진로 선택 / 융합 선택

 

- 국어, 수학, 영어 주요 교과 학점 총합 81점 이하 허용

(졸업 필수 학점의 50% 이하)

 

국어·영어·수학 필수 이수 단위 : 10 단위단위 → 8학점

사회 필수 이수 단위 : 10 단위단위 → 8학점

과학 필수 이수 단위 : 12 단위단위 → 10학점

 

- 학기제 운영 : 학기별 3과목씩 1년에 총 6과목 선택 가능

수강 과목수 증가 (114~16과목), 교과세특 증가

 

- 학교 자율과정 교과프로젝트 시행

 

다양한 학습 기회 및 특별한 융복합 수업 설계 기회 부여

자기주도 학습능력 & 창의력계발 기회 부여

개인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기록

 

 

고교학점제가 특례입시에 미치게 될 영향

 

- 재외한국학교 내신 성적 변별력 약화

(표준학력평가시험 성적 확보 필요성 확대)

 

- 지원 전공 관련 교과 이수 및 성취도 변별력 확대

 

- 지원 전공 관련 탐구 활동의 중요성 증대


https://youtu.be/sB71O9dLXCc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