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특례입시 칼럼60

12년 특례 지원 가능 대학 수 무제한에 따른 입시 전망 12년 특례 지원 가능 대학 수 무제한에 따른 입시 전망       전 교육과정 해외 이수자 전형 곧 12년 특례에 있어 곧 시작될 2025학년도 후기 (9월 신입학) 전형부터 수시 지원 횟수 6회 제한이 해제되고, 전기 (3월 신입학) 전형 지원 유무 관계없이 후기 전형에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여짐에 따라 12년 특례 전형에 있어 지원자 수, 합격선 등 어떠한 실질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조심스레 예측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2025학년도 후기 (9월 신입학) 전형부터 지원 횟수6회 제한 비적용 전기 (3월 신입학) 전형 지원 유무 관계없이 후기 전형 지원 가능    실질적인 변화는 미미할 수 있다!! [ 상위권 관점 ] - 서울대, 연세대 등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취득한 성.. 2025. 1. 21.
해외고 수시전형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 해외고 수시전형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       해외의 학교에서 오래 동안 공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재외국민 특별전형 (3년 특례, 12년 특례)이 아닌 해외고 수시 전형을 선택하게 되는 이유와 해외고 수시 전형의 현황과 실제 그리고 무엇보다도 해외고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수시 전형을 준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고민하고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드리는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니다.   [ 재외국민 특별전형이 아닌 해외고 수시 전형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 ] 1. 3년 특례, 12년 특례 자격조건 미달 - 초중등 검정고시, 홈스쿨링, 비인가 학교 재학 이력- 해외 학교 전편입 과정 이수 학기 부족- 개인 및 가족의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한 자격조건 미충족 2. 목표 대학 도전 기회 확대를 통한 합격 가능.. 2025. 1. 11.
A-Level 국제학교 한국 대학 입시 전략 A-Level 국제학교 한국 대학 입시 전략      A-Level 과정을 운영하는 국제 학교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우 AP나 IB 과정을 공부하는 학생들에 비해 그 수가 상대적으로 작고 A2 파이널 성적이 나오는 시점이 늦다는 이유 때문에 한국 대학 입시에 불리할 것이라는 막연한 선입견으로 인해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통해 대학 입시에 도전하는 것에 주저하거나 심지어 한국 대학 입시를 포기하는 경우들까지도 있습니다. 그러나 A-Level 과정 또한 한국 대학 입시에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표준학력평가 과정 중 하나라는 점에 입각하여 A-Level 과정의 특징 그리고 무엇보다 A-Level 과정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이 한국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전략에 대해 소개를 드리는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다. .. 2024. 12. 31.
중도 귀국 (귀국 후 국내 고등학교 졸업) 특례 입시 Q&A팩 중도 귀국 (귀국 후 국내 고등학교 졸업) 특례 입시 Q&A팩       주재원 자녀들의 경우 한정된 해외 근무 기간으로 인하여 해외의 학교에서 고교 과정 졸업 전 중도에 귀국하여 국내 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면서 대학 입시를 준비하게 되는데, 국내 고등학교에서의 성적까지 관리하여야 한다는 어려움, 자격 조건에 부합하는 전편입 시점 결정, 귀국 후 공부할 국내 고등학교의 선택 등 고민하여야 할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닐 것입니다.       이에 이러한 중도 귀국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설명회 및 개별 상담을 통해 학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부분들을 몇 가지를 추려 설명을 드리는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다.   1. 보호자 귀임 (해외근무 종료) 후 학생이 해외고 재학을 이어가는 경우 특례 자격 조건에 .. 2024.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