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 평가의 특성에 따른 최상위권 대학 합격선에 대한 이해
한국의 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경우 합격에 필요한 성적 곧 커트라인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항상 초유의 관심을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는데요.
사실 학생이 제출한 모든 성적 및 활동 자료를 종합하여 평가를 진행하는 정성평가의 특성으로 인해 학교 내신 성적을 비롯하여 SAT, IB, TOEFL 등 개별 시험에 대한 합격선(커트라인)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에 재외국민 특별전형 서류 전형 평가 방식인 정성평가의 특성이 상위권 대학 합격에 있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을 드리는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다.
-----------------------------------------------------------------
합격생 사이의 개별 시험 성적 범위가 상당히 넓음
(특정 인증시험의 성적과 합불이 역전되는 상황도 발생)
1. 대학의 인재 선발 기준과 우선 순위에 따라 평가 결과 상이
2. 개별 평가관의 관점에 따라 예외적인 경우 발생
3. 진로 역량이 가지는 변별력은 예단하기 어려움
4. 학생들이 제출하는 인증 시험 성적의 유무가 매우 다양함
(합격한 모든 학생이 SAT, 토플, AP 성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님)
5. 출신학교 소개자료 (School Profile)의 영향
6. 학교 내신 성적이 가지는 공신력의 정도 (출신학교 소개자료, 인증시험 성적)
7. 학생의 초중고 재학 학교 형태 및 이력
8.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매우 다양함
9. 학생의 잠재 역량(발전 가능성) : 평가관의 주관적 관점
-------------------------------------------------------------
'특례입시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상위권 성적대 학생 재외국민 특별전형 입시 대비 전략 (3년 특례 / 12년 특례) (0) | 2025.03.19 |
---|---|
재외국민 특별전형(3년 특례/12년 특례)으로 의대에 입학하기 위해 필요한 성적 수준 (0) | 2025.02.20 |
12년 특례 지원 가능 대학 수 무제한에 따른 입시 전망 (0) | 2025.01.21 |
해외고 수시전형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 (0) | 2025.01.11 |
A-Level 국제학교 한국 대학 입시 전략 (0) | 2024.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