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고 수시전형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
해외의 학교에서 오래 동안 공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재외국민 특별전형 (3년 특례, 12년 특례)이 아닌 해외고 수시 전형을 선택하게 되는 이유와 해외고 수시 전형의 현황과 실제 그리고 무엇보다도 해외고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수시 전형을 준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고민하고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드리는 영상을 준비하였습니니다.
[ 재외국민 특별전형이 아닌 해외고 수시 전형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 ]
1. 3년 특례, 12년 특례 자격조건 미달
- 초중등 검정고시, 홈스쿨링, 비인가 학교 재학 이력
- 해외 학교 전편입 과정 이수 학기 부족
- 개인 및 가족의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한 자격조건 미충족
2. 목표 대학 도전 기회 확대를 통한 합격 가능성 재고
[ 해외고 수시 전형 현황 ]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등 수능 최저 학력을 요구하지 않고,
해외고 졸업생에게 지원 자격을 부여하는 전형
- 해외고 졸업생 대상 별도 수시 전형 운영 대학
연세대 학종 국제형 (언더우드국제대학, 글로벌인재대학) 약 100명
국민대 어학특기자 (KMU IBS) 30명
한동대 학생부종합전형 글로벌인재 (전체 전공) 약 100명
카이스트 외국고전형 (전체 전공) 약 40명
(이화여대 국제학 특기자 전형 2026학년도부터 폐지)
이외의 대학들은 해외고 졸업생 대상 별도의 전형을 두지 않고,
국내 학생들과 경쟁하여 선발,
실제 선발 인원 소수
[ 해외고 수시전형 전망 ]
학령인구 감소로 인하여 상위권 대학들 중에도 학과에 따라 미달 발생
→ 해외고 졸업생 선발 대학들 및 학생수 확대 전망
[ 해외고 졸업생 지원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의 특징 ]
- 학교 내신성적 평가 비중 절대적
- 어학 인증시험 성적 제출 불가
- 표준학력 평가시험 성적 제출 제한적
- 진로 역량 (전공 적합성, 계열 적합성) 중요
[ 해외고 졸업생이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것 ]
- 체계적인 고등학교(G10~12, Y11~13) 내신 관리
- 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된 표준학력평가시험 성적 최대화
- 희망 진로 및 전공 분야 조기 설정
- 진로에 맞는 활동 만들어가기 (동아리, 탐구 활동, 연구 활동)
- 꾸준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일정한 성과를 남기는 것 중요
'특례입시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성 평가의 특성에 따른 최상위권 대학 합격선에 대한 이해 (0) | 2025.01.26 |
---|---|
12년 특례 지원 가능 대학 수 무제한에 따른 입시 전망 (0) | 2025.01.21 |
A-Level 국제학교 한국 대학 입시 전략 (0) | 2024.12.31 |
중도 귀국 (귀국 후 국내 고등학교 졸업) 특례 입시 Q&A팩 (2) | 2024.12.26 |
AP 국제 학교 한국 대학 입시 대비 전략 (2) | 2024.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