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례입시 준비

특례입시 길라잡이 (3) - IB TOK & English A

by 옹글리쉬 2022. 8. 6.
반응형

특례입시 길라잡이 (3) - IB TOK & English A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오랫동안

한국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지도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특례입시와 관련하여 가능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옹글리쉬 옹일환입니다.

 

오늘은 재외국민 특별전형 곧 특례입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기본적인 정보를 전달드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특례입시 길라잡이 시리즈 세 번째 순서로서

해외의 국제학교를 다니고 있는 다수의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IB 과정 그 중에서도 우리 한국 학생들이

준비하고 점수를 내는데 있어 가장 어려워하는 과정이기도 한

TOKEnglish A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모두들 잘 알고 계시는 것처럼

표준학력 평가시험 성적 중의 하나인 IBDP의 파이널 성적은

상위권 대학 서류 전형에서 신입생을 선발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여기에서 입시에 유의미한 파이널 성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개별 과목의 성적도 중요하지만,

오늘 설명드리려고 하는 TOKExtended Eassy를 합산하여

부여하게 되는 성적에 대해서도

3점에 가까운 성적을 확보하는 것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우리 한국의 학생들은 소극적인 수업 태도 등으로 인하여

TOK 과정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격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우선 이 TOK가 어떠한 과정이고

그 자세한 평가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그 다음으로 English A 과목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BTOKtheory of knowledge의 줄임말로

How do we now what we know?

우리는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나? 라는

철학적인 질문에 대하여 학생 스스로 자문자답의 과정을 통해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논리적으로 풀어내어야 하는 과정인데요.

IBO에서 제시하는 6가지 주제 중 1가지를 선택한 후

이를 실생활에 접목하여 학습하는 것과 동시에

TOK는 바로 생각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IB 성적은 총 4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학생이 High Level 또는 Low Level로 선택하여 공부한

6개의 과목에 대해 각각 7점을 만점으로 하여 42점 만점을 구성하게 되고

 

(EE TOK 점수 환산표)

 

 

Extended EassyTOK에 대한 각각의 평가 결과를 별도의 기준을 통하여

0점에서 3점까지로 환산한 후 이를 42점 만점인 과목별 성적과 합산하여

IBDP 최종 성적을 산출하게 됩니다.

 

IB TOK Presentation Essay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이 중 프리젠테이션은 학교 내부에서 채점이 진행되고,

보통의 경우 11학년 중에 마무리되는데요.

EssayExtended Eassy와 마찬가지로 학교 외부에서 채점이 진행되고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직전인 12학년 말에 주제가 공개되어

작성을 하여 제출하게 됩니다.

 

우선 학교 내부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는 Presentation

특정한 현실 상황 하나를 주제로 선정하여

TOK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Real-life example 실생활 사례

Ways of Knowing 학습의 방법

Areas of Knowledge 지식의 분야 등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게 되는데요.

 

TOK Presentation은 학교 내부에서 채점이 이루어지고

IBO에 보내는 것은 TKPPD라는 일종의 보고서밖에 없기 때문에

학교의 담당 교사가 지시하는 방식을 그대로 따라서 진행하면 되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구체적인 진행 방식이

학교마다 담당 교사마다 다를 수밖에 없고

특히 그 무엇보다도 교사의 재량권이 커서

평소에 학생이 교사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가가

평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덧붙여 이 프레젠테이션은 IBO에서

지정한 총 35가지의 주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한 후

해당 학생의 주위에서 찾을 수 있는 물건 3개를 선택하여

Exhibition 곧 전시하는 것으로 실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TOK에 있어 외부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는 Essay

IBO에서 발표한 총 6가지 주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1,200에서 1,600 단어의 에세이를 작성하게 되는데

 

 

바로 지금 보여드리는 기출문제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듯이

철학적인 부분까지 에세이에 인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까다로울 수밖에 없는데 반해

TOK에서 배운 내용이 향후 대학에서 공부하게 될 전공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TOK에 이어 오늘 영상에서 소개하여 드릴 IB의 두 번째 과정은

English A라는 개별 과목인데요.

학생들이 IB의 언어 영역에서

구체적인 과목을 선택함에 있어서 영어 EnglishA로 할 것인지

아니면 B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 상당한 고민을 하게 되는데,

특히 EnglishA로 선택한다는 것은

학생이 영어를 모국어로 한다는 전제를 두고 공부하여

평가를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nglish A는 간단히 말해 원어민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일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을 영어 원문으로 하여 공부하고

각종 시험에 응시하여야 하기때문에 과목 자체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

 

English A 과정은 학교 내부 평가인 Internal Assessment, IA

학교 외부에서 평가가 진행되는 External Assessment, EA

그리고 에세이에 해당한다 할 Written Task

이렇게 3가지 영역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요.

 

 

이 중에서도 먼저 학교 내부 평가에 해당하는 IA의 경우에는

구두 발표 형식으로 평가가 진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학생이 미리 준비해온 답변을

10분간에 걸쳐 발표하게 되는 individual oral Commentary, IOC

학생이 발표한 내용과 관련하여 5분 정도의 시간 동안

담당 교사의 질의에 대해 응답하는 Further Oral Activity, FOA

순서로 진행이 되는데,

특히 여기에서 학생이 선택하여 준비한 문학 작품들은

모두 글로벌 이슈와 분명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을 평가하는 기준 중에는

학생의 언어 구사능력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부분의 점수가

40점 만점 중 10점으로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IA 구두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당연히 대본을 쓰고 외우게 되겠지만

실제 담당 교사 앞에서 실전 시험에 응시하게 될 때에는

대본을 외우는 것처럼 인식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을 하는 것이 필수라 하겠습니다.

 

 

IBEnglish A 과정에서 두 번째로 살펴볼 Written Task

창작에 해당하는 Written Task 1

학교 수업 과정에서 학습한 문학 작품 중 하나를 바탕으로

주어진 질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에세이로 작성하게 되는

Written Task 2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2학년 졸업 직전

5월 중 실시되는 Final Test에서 응시하여

학교 외부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는

External AssessmentPaper 1, Paper 2로 나누어 진행되는데요.

 

Paper 1은 신문 기사, 블로그, 광고문의 텍스트 또는 광고 책자,

리포트, 에세이 등에 해당하는 글이 제시문으로 주어지게 되는데,

처음 접하게 되는 글을 바탕으로 답안을 작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상당히 까다롭게 다가오는 영역이라 할 수 있구요.

 

반면에 Paper 2는 학생이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소설 등의 교재를 바탕으로 출제가 이루집니다.

더욱이 이 Paper 2에서는 문제들이

대부분 비슷한 유형으로 반복하여 출제가 되는 경우들이 많아서

기출 문제 등을 통해서 충분히 준비한 후 시험에 응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소개하여 드린 English 과정은

단순히 텍스트나 책의 내용을 이해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깊이 있고 구체적인 분석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에

간단히 말해 문과적 특성이 있고

문학을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좋을 평가를 받는데 있어 유리합니다.

 

그리고 English A는 원어민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인 만큼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

기본적인 문법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덧붙여 최근에는 코비드19로 인하여 Final Test에서 임시로 빠져있던

Paper 2가 다시금 부활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을 참고로 말씀드립니다.

 

English A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우리 한국 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받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울 수 있는 과목인 만큼

만약에 학생이 EnglihA로 선택하여 7점에 가까운 고득점을 취득할 경우

상위권 대학 서류 전형에서 적지 않은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데요.

 

특히 IBEnglish A 과정에서 고득점을 확보하게 되는 경우

SAT 성적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을

끝으로 하여 오늘 IB 과정에 있어

TOKEnglish A에 대하여 소개하여 드리는 순서를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옹글리쉬 옹일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