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학교 내신 성적이 가지는 변별력에 대한 이해와 전략
3년 특례와 12년 특례의 서류 전형에서 학생의 학업 역량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바로 학교 내신 성적이라 할 것인데요.
그러나 현실적으로 엄청나게 다양한 형태와 규모를 가진 해외의 학교들이 부여한 내신 성적을 하나의 단일한 기준에 맞추어 평가하기가 매우 어려운 데다 실제 상위권 대학일수록 오로지 내신 성적 만으로 합격한 사례 또한 그 비중이 크지 않다 보니 학교 내신 성적에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고 입시 전략을 세워야 할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에 학교의 형태와 규모에 따라 내신 성적이 가지는 의미와 효력 그리고 학교 내신 성적이 실질적인 변별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 지에 대해 나름으로 정리하여 설명을 드리는 시간을 준비하였습니다.
대학 입시 서류 전형에서 의미 있는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해외 학교 내신 성적의 핵심
치열한 경쟁과 각고의 노력을 통해 획득한 성적
엄격한 평가를 통해 부여된 객관성이 담보된 성적
해외 학교 내신 성적에 대한 신뢰의 정도를 가늠하는 기준
학교의 형태(종류)와 규모(학년별 학생 수)
School Profile (출신학교 소개자료)에 나타나는
재학생 성적 취득 현황 및 대학입시 결과
성적 체계 및 과목 별 & 평점 별 학생 비율
출신 학교별 내신 성적의 변별력을 가늠하는 기준
공립 학교 :
학교의 규모, 지역 내 학교의 위상, 현지 언어능력 시험 성적
일반 사립 학교 (이중언어학교: 현지어+영어) :
School Profile, 공인 영어 시험 성적 및 현지 언어능력 시험 성적
재외한국학교 :
학교의 규모 (학년별 학생 수)
표준학력평가과정 운영 국제학교 :
- 학교 자체적인 내신 성적의 변별력 매우 낮음
- School Profile, 표준학력 평가시험 파이널 성적
- IB, A-level 등의 Predicted 성적이 변별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SAT, TOEFL 등 보조 지표 필요
AP 중심 미국계/캐나다계 국제학교 :
School Profile, SAT, TOEFL 등 보조 지표
학교의 형태와 관계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한
표준학력 평가시험 (SAT)
공인 영어 시험 성적 (토플 등)
현지 언어 능력 시험 (HSK, JLPT, DELE 등)
→ 학생의 내신 성적의 실제 변별력을 가늠할 수 있는
보조 지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음
'특례입시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상위권 성적대 학생 재외국민 특별전형 입시 대비 전략 (3년 특례 / 12년 특례) (0) | 2025.03.19 |
---|---|
재외국민 특별전형(3년 특례/12년 특례)으로 의대에 입학하기 위해 필요한 성적 수준 (0) | 2025.02.20 |
정성 평가의 특성에 따른 최상위권 대학 합격선에 대한 이해 (0) | 2025.01.26 |
12년 특례 지원 가능 대학 수 무제한에 따른 입시 전망 (0) | 2025.01.21 |
해외고 수시전형 어떻게 준비하여야 할까? (0) | 2025.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