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례입시 Q&A 케이스

3년 특례 자격 조건 (21) - 전편입 과정에서 1개 학년 월반

by 옹글리쉬 2023. 2. 2.
반응형

Q&A 실제 케이스를 통한 특례입시 공부 - 077

3년 특례 자격 조건 (21) - 전편입 과정에서 1개 학년 월반

 

 

Question. 1

  한국에서 3학년까지 마치고 국제학교 2년을 다녔습니다. 중간에 학교자체적으로 미국텍사스과정에서 캠브리지과정으로 바뀌었습니다. 성적표는 19~20년도 singapore3(TAKS 3or4), 20~21년도 Y5 라고 되어 있습니다. primary는Y6까지이구요. 그런데 이번에 전학을 가게되었습니다. 전학가려는 학교는 Y1~5 primary, Y6~9middle school 입니다. Y6로 전학해도 되는건지? 된다면 Y12학기까지 다닌다는 가정하에 빠지는 학기없이 전학년 인정되는건가요?  

Answer. 1

  미국식 학제는 한국과 동일한 12년제로 일단 학생은 한국에서 초1~초3을 이수하고 해외로 전학하여 초3 2학기를 중복이수(1개학년이 4개 학기로 구성된 경우 방학기간 포함 6개월 재학을 1개학기 이수로 산정)한 것으로 보이고, 영국식 학제는 13학년제(Y1~Y13으로 표기)로 해당학교에서 어떻게 분류하던 관계없이 한국대학서는 Y1은 유치원 과정으로 간주하여 제외하고 Y2를 초등학교 1학년으로 하여 Y13을 고등학교 3학년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따라서 20~21년도에 Y5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4학년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과 같이 학생은 초등학교 1~4학년을 이수하고 1개 학기(초등학교 3학년 1학기)를 중복이수한 상태로 옮기려고 하는 학교가 13학년제여서 Y6(초등학교 5학년 해당)으로 전학하는 것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지만, (단 이 경우에는 반드시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Y13까지 이수하여야 합니다.) 12학년제 학교의 6학년(G6)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에는 5학년 1개 학년을 건너뛰는 월반이 발생하게 되는데, 전편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월반으로 인한 초중고 필수 이수학기(24개 학기)에 미달하게 되는 경우는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uestion. 2

  예전 학교를 그냥 그대로 다닌다면 Y6(초등마지막학년) 전학가려는 학교는 Y5(초등 마지막 학년)로 가야하는 거구요. 12학년제이니 Y6로 가게 되면 5학년 과정(즉 초등마지막 학년)이 없이 중학교로 가게 되는거네요. 말 그대로 월반. 그럼 선생님 말씀대로 1~4학년 하고 3학년 중복 1학기로 계산한다면 모두 9학기 이수. 6~12학년까지14학기를 이수한다면 23학기로 인정될 수 있지 않나요? 아니면 월반으로 인한 미달은 아예 인정이 안되기 때문에 이수한 학기가 총23학기라도 인정이 안되는 건가요? 그렇다면 전학가려는 학교 Y5(초등 마지막 학년)로 들어가야되는 건지요? 만약 그렇다면 연년생인 작은 아이도 똑같이 Y4으로 들어가야하는거겠지요?

Answer. 2

  전편입 과정에서 1개 학년에 대한 월반(학생의 경우 한국기준 초등학교 5학년)으로 인한 이수기간 부족은 인정되지 않고, 앞서 중복이수한 초등 3학년 1학기로 누락되는 5학년의 2개 학기 중 1개 학기를 대체한다 할지라도, 여전히 채워지지 않은 5학년의 나머지 1개 학기 누락은 학제 차이에 의한 누락이 아니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중고 총 23개 학기 이수가 인정되는 경우는 전편입 과정에서 학제 차이(2~3월 신학년 시작 학제 / 8~9월 신학년 시작 학제 간)로 인하여 1개학기 누락이 발생한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입니다.

 

 

* 이상의 Q&A 케이스는 특례입시 전문 유튜브 채널 '옹글리쉬'에

댓글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