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A 실제 케이스를 통한 특례입시 공부 - 007
12년 특례(전교육과정 해외이수) 대학 입시 (1)
Question.1
재외한국학교 고3 학생(12특)입니다. 현재 여러 지역에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하는 중이거나 비대면 수업을 했었고, 그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들이 시험을 치루지 못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됐습니다. 이처럼, 시험을 제기간에 친 학교와 시험이 취소되어 학교의 수행평가 등으로 대체된 학교 간에는 입시에서 평가 기준이 다르게 적용될지, 유불리가 나뉘는지가 궁금합니다.
Answer.1
특례에서의 서류 평가는 정량평가가 아닌 학생이 제출한 내신성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정성평가가 이루어지므로 학생이 제출한 서류들에 있는 특이 사항을 감안하여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유불리가 있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Question.2
중국에서 오랫동안 살았음에도 HSK 6급 성적이 많이 낮아 고민입니다... 이러한 HSK 6급은 시험을 통과하는 것이 중요한가요, 아니면 고득점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한가요? 단순히 취득한 것과 고득점을 한 것 사이에 큰 차별화가 생길 수 있을까요?
Answer.2
당연히 HSK 성적의 경우에도 고득점을 획득한 경우에는 서류평가에 플러스로 작용할 것이지만, 한국학교를 다닌 학생들의 경우 HSK 성적이 낮다고 하여 불이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이상의 Q&A 케이스는 특례입시 전문 유튜브 채널 '옹글리쉬'에
댓글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반응형
'특례입시 Q&A 케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학교 졸업 3년 특례 대학 입시 (3) (0) | 2022.11.22 |
---|---|
재외국민 특별전형 대학 입시 (1) - 수능 최저 학력 반영 (0) | 2022.11.21 |
해외국제학교(졸업) 3년 특례 대학 입시 (2) (0) | 2022.11.19 |
해외국제학교(A-Level 과정 학교) 3년 특례 대학 입시 (1) (0) | 2022.11.17 |
해외국제학교 중도 귀국 대학 입시 (3) (0) | 2022.11.17 |
댓글